경제 미소청년

혁신에 대하여

하면되지. 2024. 5. 29. 23:43
반응형

미국의 혁신은 시대를 여는 선구자의 위치에서 비롯된 바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실리콘밸리에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실리콘밸리 기술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미국 상장기업의 2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반도체 회사인 엔비디아(대만계 미국인이 설립)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앞으로의 시대를 여는 기술 혁명적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미 전체 기업의 연구개발과 자본 지출 증가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과 전 세계를 혁신적 기업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는 시대를 여는 기업의 본고장으로, 세계인들이 열렬히 바라고 원하는 바의 가치의 아이콘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혁신을 이끌수 있는 제도와의 연결고리

미국의 혁신 기업들은 모두 제도와 환경 속에서의 계속적인 투자와 보호를 통해 성장했습니다. 실리콘 벨리의 기업들은 이러한 단계를 거쳐 지금의 전 세계의 산업을 이끄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100년 이상을 유지해 온 기업은 한국에서 5~6개, 미국에서도 S&P 500의 500대 기업 중 평균 수명이 20년을 넘기지 않는다고 합니다. 유럽은 이보다는 많지만 그만큼 100년 이상 존속하는 기업은 찾기 힘들다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각 세대와 그 시대에서 바라고 지향하는 무언가와의 상관관계에 혁신의 탄생이 나올 수 있는 배경이 되지 않겠는가?

좋은 아이디어

시대에서 나타 날 수 있는 생각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편안함과 필요성에 기인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고 봐진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크게 주목받고 있는 K-CULTURE (한류) 이는 한국의 본질적 자질인 흥에 기인한다고 본다. 파친코의 이민진 작가가 언급한 한국인은 춤과 노래 사랑한다라는 한국인의 특징이 고착화되어 본질이 되었고 전 세계 무대를 대상으로 이런 특징이자 본질을 널리 알릴 수  있는 OTT의 시대적 흐름에 합류하여 한국의 새로운 장르와 새로운 바람을 전 세계에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이 것 또한 어쩜 한국인들의 특징과 본질을 OTT란 기술적 혁신에 의해 수혜를 받고  있다고 생각이 된다.

결론: 혁신은 시대의 필요성과 함께 사회에서 제도적 기술적 문화적 결합이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이 되었을 때,
아이디어를 낼 인제와 자본이 만났을 때,  다민족을 수용하기 위해 갖추어 놓은 좋은 선진제도가 갖추어졌을 때, 각각의 산업인프라의 생태계가 갖추어져 있을 때, 작은 혁신의 탄생을 진정 바라고 성장을 돕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가 명확하게 있을 때 나타나지 않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