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소청년

양극화와 낙수효과

하면되지. 2024. 6. 20. 10:51
반응형

양극화

한국의 다이소 연매출이 2002년 2조원에서 2022년 3조원대로 증가한 것은 저렴한 상품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물가 시대, 중국의 영향력, 글로벌한 세계시장, 양극화, 낙수효과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원과 자영업자의 수입은 물가 상승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거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저렴한 제품을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비싸고 고급 브랜드의 수익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자본을 보유한 계층은 고물가의 영향을 받지 않고 특정 지역의 집값과 명품 브랜드를 찾는 계층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중산층은 이러한 양극화의 영향으로 약화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노동력 상실과 사회 불만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낙수효과


자본가 계층의 소득 증대와 투자가 서민들의 소득에도 영향을 주었던 한국의 시스템 현재도 유요한가? 기존 한국의 경제를 이끌던 초엘리트 대기업들에 의해 한국 산업 전반의 모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국민의 일자리와 가계 소득을 증대시켰습니다. 한국의 기적을 만들어낸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한국 시스템이었지만 현제의 글로벌 시장 경제에서 한국의 위치는 어떠한지 살펴본다면 높아진 한국인의 임금, 줄어든 국내 해외 노동시장 이로인해 개인에 돌아가는 가계소득이 줄어 들어 갈수록 어려워지는 한국인의 삶을 보게 됩니다. 세계 시장의 요구는 자국의 이익만을 요구 하고 있습니다. 자국의 영토에 공장을 건립해 개인과 지역의 소득을 보장해 주지 못하고 해외에서 공장을 지어 그 나라에 많은 수혜를 줄 수밖에 없는 정책 변화가 현제의 모습입니다. 한국의 경쟁력은 갈수록 어려워 보여 수 많은 한국 투자가 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예전과 달리 낙수효과를 통해 가계소득의 상승 을 기대하던 예전의 모습에서 한국인들은 어떤 선택을 하여 삶을 살아갈지? 또 어떻게 변 할지? 걱정됩니다.


체질 계선의 필요성 보이는 대목입니다.

반응형